원추리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넘나물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의 자생종으로 여러 종류가 있고 해가 잘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랍니다.
* 학명 Hemerocallis fulva .
* 형태 여러해살이풀.
* 개화 6월~8월.
* 크기 50~100cm.
* 용도 관상용.
* 분포 동아시아, 한국, 중국.
원추리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계곡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고
생육환경은 습도가 높으면서 토양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 잘자랍니다.
원추리는 이른 봄에 싹을 틔워 자라고 처음에는 펼쳐진 부채 모양으로 자라다가 나중에는
골이 파진 잎줄기가 생깁니다.
봄에는 주로 활처럼 휘어진 잎을 키우고, 여름이 되면 꽃대를 세우고 꽃을 피웁니다.
꽃은 여러 개의 봉오리가 차례로 생기는데 하룻동안 피었다 진다고 합니다.
높이는 약 1미터 까지 자라고 잎은 2줄로 늘어서고 길이가 60~80센티정도 이며
밑에서 2줄로 마주나고 선형이며 끝이 둥글게 뒤로 젖혀지고 흰빛이 도는 녹색입니다.
꽃은 7월에서 8월경에 피며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서 자라고 원줄기 끝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6개에서 8개의 꽃이 뭉쳐 달리며 빛깔은 주황색이고 길이가 10센티에서13c센티 정도입니다.
포는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가 2센티에서 8세티미터 정도이고 작은꽃 줄기는 길이가 1∼2센티입니다.
안쪽화피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나비 3∼3.5센티미터이며
수술은 6개로서 통부분 끝에 달리고 꽃잎보다 짧으며, 꽃밥은 줄 모양이고 노란색입니다.
열매는 9~10월경에 타원형으로 달리고 종자는 광택이 나며 검은색이고.
동아시아 원산으로서 흔히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있습니다.
번식방법으론로는 10월에 얻은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종이에 싸서 냉장보관 후 이른 봄에 뿌리거나
가을이나 이른 봄에 뿌리를 캐내 포기나누기를 하면 됩니다.
종자가 광택이 나고 딱딱해서 모래에 마쇄를 하든지 물에 5일에서 6일 정도 불린 후 뿌리면 됩니다.
봄에 돋아나는 연한 잎은 나물로 이용하기도 하고 꽃을 중국요리에 사용하며
뿌리를 이뇨, 지혈, 소염제로 사요하기도 합답니다.
부인들에 있어서는 월경시에 요통·복통을 가라앉히고 생리장애에도 효험을 보이며 어린싹은
소화를 촉진시키고 황달이나 소변을 붉게 보고 양이 적은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읍니다.
원추리에는 이뇨, 항종양, 항산화, 항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flower _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반꽃이라고 불리우는 능소화꽃 (0) | 2019.03.01 |
---|---|
밤의 여왕이라고 불리우는 큰가시 연꽃 (0) | 2019.03.01 |
꽃과 잎이 서로를 그리워 한다는 상사화!!! (0) | 2019.02.28 |
흰상사화 (0) | 2019.02.28 |
도둑놈을 잡은 꽃, 도둑놈의갈고리!!! (0) | 2019.02.28 |